반응형
1. 제세금 및 수수료
주식 매매 시 발생하는 수수료 및 세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.
매수 수수료
- 증권사 수수료 : 증권사별로 상이하며, 온라인 거래와 오프라인 거래에 따라 차이가 있음
- 유관기관제비용 : 한국거래소(KRX), 예탁결제원(KSD), 금융투자협회 등이 부과하는 비용
매도 수수료
- 증권사 수수료 + 유관기관제비용
- 거래세(0.23%) : 2023년 기준(코스피)
- 증권거래세(코스닥 0.20%)
2. 주문 방식별 상세 설명
1) 보통 주문 (지정가 주문, Limit Order)
- 투자자가 원하는 특정 가격을 지정하여 주문하는 방식
- 매수 시 : 지정한 가격 이하에서만 체결 가능
- 매도 시 : 지정한 가격 이상에서만 체결 가능
- 미체결 시 주문이 유지되며, 체결될 때까지 기다려야 함
2) 시장가 주문 (Market Order)
- 주문 가격을 지정하지 않고 시장에서 형성된 가격으로 즉시 매매 체결을 원하는 경우 사용
- 빠른 체결이 필요할 때 유용하지만 가격 변동에 따라 불리한 체결 가능성 존재
3) 조건부 지정가 주문
- 장중에는 지정가 주문으로 참여하지만 체결되지 않을 경우 장 종료 10분 전(15:20~15:30) 동시호가에 시장가 주문으로 전환되어 체결 시도
- 체결 기회를 늘리면서도 원하는 가격을 고려할 수 있는 주문 방식
4) 시간 외 거래
- 정규 시장 종료 이후에도 거래를 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매매 방식
- 시간 외 종가 주문
장전 시간 외 종가(08:30~08:40) : 전일 종가 기준으로 매매 체결
장후 시간 외 종가(15:40~16:00) : 당일 종가 기준으로 매매 체결
접수 순서에 따라 체결되며, 해당 종목이 해당 시간대에 거래되지 않으면 주문이 불가함
5) 최유리 지정가 주문
- 주문 접수 시점에서 반대편 최우선 호가와 동일한 가격으로 자동 지정되는 주문 방식
- 빠른 체결을 목적으로 하며, 유동성이 부족한 종목에서도 활용 가능
6) 최우선 지정가 주문
- 주문 접수 시점에서 자신의 주문 방향(매수/매도)에서 가장 유리한 최우선 호가로 주문이 지정됨
- 시장 유동성에 따라 체결 가능성이 높아짐
이러한 주문 방식을 이해하고 활용하면 시장 변동성에 따라 더 전략적인 매매가 가능합니다.
반응형
'[Financial] > ːFinancial Technolog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식 거래시간 안내 (4) | 2025.02.01 |
---|---|
코스피, 코스닥 시장 호가가격단위 개편 v23.1.25 (0) | 2025.02.01 |
[주식 기본 상식] YoY, QoQ, YTD, %p 의미 (0) | 2023.08.16 |
[주식 기본 상식] 변동성 완화장치 VI (0) | 2023.07.03 |
연말정산 분석 결과 과다 공제 안내 유형 (0) | 2022.09.12 |